1
- 뇌신경의 종류
- 후각신경(olfactory nerve)
- 시신경(optic nerve)
- 동안신경(oculomotor nerve)
- 활차신경(trochlear nerve)
- 삼차신경(trgeminal nerve)
- 안신경(ophthalmic nerve)
- 위턱신경(maxilkuy nerve)
- 아래턱신경(mandibular nerve)
- 외전신경(abducens nerve)
- 안면신경(facial nerve)
- 전정와우신경(vestibulocochlear nerve)
- 전정(vestibule) – 균형감각 담당
- 와우(cochlea) – 소리 담당
- 두 감각이 하나로 왔다가 분리된다.
- 설인신경(glossopharyngeal nerve)
- 미주신경(vagus nerve)
- 부신경(accessory nerve)
- 두개신경근(cranial root)
- 척추신경근(spinal root)
- 설하신경(hypogiossal nerve)
- 고삐핵(habenula)
- 대뇌 변연계의 신경회로에서 신경 신호 전달을 중계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
- 시상(thalamus)
- 간뇌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백질부
- 각종 신경충격을 대뇌피질로 전달한다.
- 상구(superior colliculus)
- 중뇌의 상부에 있는 돌출부로 눈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
- 하구(inferior culliculus)
- 중뇌의 덮개를 구성하는 부위로 청각 정보를 받아서 청각 피질로 전달한다.
- 소뇌각(cerebellar peduncle)
- 중소뇌각(middle cerebellar peduncle)
- 하소뇌각(inferior cerebellar peduncle)
- 상소뇌각(superior cerebellar peduncle)
- 쐐기핵(nucleus cuneatus)
- 숨뇌 속에 있으며 쐐기다발결절을 높여주는 세포들을 갖고 있다.
- 후섬유단(posterior column)
- H형의 회백질 가운데 배측으로 뻗은 부분
- 신경의 이동
- 후섬유단 -> 시상 -> 대뇌피질(S1)
- 삼차신경운동핵(trigeminal motor nucleus)
- 운동신경세포를 갖고 있으며 첫째인두굽이의 근육들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.
- 안면신경운동핵(facial motor nucleus)
- 뇌줄기 속 여러 신경세포가 모여 있으며 얼굴 신경에 포함. 표정을 만드는 근육들을 자극한다.
- 상타액핵(superior salivatory nucleus)
- 중간신경의 부교감성 절전신경세포체. 안면신경의 부교감신경섬유들이 시작된다.
- 하타액핵(inferior salivatory nucleus)
- 연수의 의문핵과 올리브핵 사이에 위치. 절전섬유를 일어나게 한다.
2
- 설인신경
- 제 9뇌신경. 감각 및 운동신경이 혼재
- 미각이나 촉각의 말단. 혀뿌리의 분비신경 등을 지배한다.
- 귀신경절(이신경절, otic ganglion)
- 머리 부위에 있는 자율성 신경절의 하나
- 설인신경으로부터의 부교감성 섬유를 지닌 소추체신경에 속한다.
- 경동맥동(carotid sinus)
- 내경동맥이 총경동맥에서 분기하는 약간의 돌출부위
- 혈류의 변화에 대응해서 혈압을 하강시키는 혈압 조절 작용을 한다
- 경동맥체(catotid body)
- 경동맥 기부 근처에 이어진 소체
- 화학적 물질의 자극에 의해 흥분을 일으키고 반사적으로 호흡을 변화 조절한다.
- 부신경(accessory nerve)
- 11번째 뇌신경으로 머리를 움직이는 근육의 일부에 분포하고 있는 운동성 신경
- 척수부신경(spinal accessory nerve)
- 척수 부위에 분포하고 있는 운동성 신경
- 뇌부신경(cranial accessory nerve)
- 두개골 부위에 분포하고 있는 운동성 신경
- 미주신경(vagus nerve)
- 심장, 인두, 성대, 내장기관 등에 폭넓게 분포하여 부교감신경 및 감각, 운동 신경 역할을 수행한다.
- 하타액핵(inferior salivatory nucleus)
- 연수의 의문핵과 올리브핵 사이에 위치. 절전섬유를 일어나게 한다.
- 의문핵(ambiguous)
- 설인신경과 미주신경의 체제운동핵
- 설인미주신경(nervus vago-glosso-phary-ngeus)
- 제9뇌신경의 설인신경과 제10뇌신경의 미주신경은 연수에서 일어나며 경정맥동에서 두개강을 나오기까지는 평행하고 경계가 불명료하여 모아진 다발로 보이는 것을 말한다.
- 인두가지(pharyngeal branch)
- 인두의 근육과 점막, 연구개 근육에 분포. 운동 기능을 담당
- 상후두가지(superior laryngeal branch)
- 성대의 길이와 긴장도를 조절하는 근육 운동 담당
- 되돌이후두가지(recurrent laryngeal branch)
- 기도 및 후두근육에 분포. 발성 기능을 담당.
- 상호억제(Reciprocal Inhibition)
- 주동근육이 활동할 때, 주동근육의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에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의 활성화를 억제, 이완시키는 것.
- 주동근의 최적화된 움직임을 위해 발달되었다.
- 생각이란
- 대뇌피질의 한 부분과 시상의 한 핵이 상호작용 하는 것
- 다른 쌍의 움직임이 서로 억제하면서 한 번에 하나의 생각만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