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뇌섬엽(insular)
- 전두엽과 두정엽, 측두엽에 의해 덮여 보이지 않는 대뇌피질 부위. 생리적 상태를 감지하고 즉각 반응하는 역할
- 측두엽(관자엽, temporal lobe)
- 대뇌반구의 양쪽 가에 있는 부분으로 청각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
- 해마(hippocampus)
- 측두엽의 안쪽에 위치하며 기억과 관련
- 외측뇌실(가측뇌실, lateral ventricle)
- 대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좌우 2개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실 사이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뇌실과도 연결된다.
- 제3뇌실(third ventricle)
- 사이뇌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 사이구멍을 통해 외측뇌실과 오고가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4뇌실과 연결된다
- 제4뇌실(fourth ventricle)
- 소뇌 앞. 다리뇌와 숨뇌의 뒤에 위치하고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3뇌실과 오고 간다.
- 중뇌수도관
- 제3뇌실과 제4뇌실을 잇는 뇌실의 일부분
- 소뇌(cerebellum)
- 뇌의 다른 부분이나 척수로부터 외부에 대한 감각정보를 받아 이를 처리, 구성, 통합하여 운동기능을 조절한다.
- 대뇌 기저핵(basal ganglia)
- 대뇌반구의 중심 부위에 자리 잡은 큰 핵의 집단으로 운동통제에 관여한다.
- 대뇌피질(cerebral cortex)
- 각 부위에 따라 기억, 집중, 사고, 언어, 각성 및 의식 등의 중요 기능을 담당한다.
- 소뇌피질(cerebellar cortex)
- 소뇌의 표면을 싸고 있는 회백질층으로 운동근육 제어를 담당한다
- 숨뇌(연수, medulla oblongata)
- 뇌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위. 척수와 곧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나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.
- 중심관(central canal)
- 척수의 중심부에 있는 가느다란 관
- 외측피질척수로(lateral corticospinal tract)
- 피질에서 척수로 가는 외측 체계의 경로 중 하나. 행동의 시작과 통제에 관여하며 사지의 움직임과 신체 말단의 통제에 중요하다
- 전피질척수로(anterior pyramidal tract)
- 사람을 제외한 다른 동물에서는 보기 힘들다. 수의운동에 관여한다.
- 각각의 손가락을 담당하는 뇌의 면적은 몸통 전체를 담당하는 뇌의 면적과 크기가 비슷하다
- 각각의 부위를 담당하는 운동신경세포 다발은 연수까지 내려와 교차, 외측피질척수로로 향한다.
- 연수에서 교차하지 않고 내려온 10% 가량의 신경세포 다발은 전피질척수로로 향한다
- 고립로핵(solitary nucleus)
- 내장기관들의 활성을 감지, 조절하고 항상성을 유지한다.
- 미주신경등쪽핵(dorsal motor nucleus of vagus)
- 미주신경을 위한 두개골 신경핵. 주로 위장, 간, 폐를 관장하며 부교감 신경 기능을 갖고 있다.
- 설하신경핵(nucleus of hypoglosal nerve)
- 제12뇌신경인 설하신경으로 되어 혀근육군을 지배한다.
- 얇은다발(fasciculus gracilis)
- 후섬유단-내측섬유띠신경로의 일차 신경원의 축삭이며 얇은핵에 도달한다
- 얇은핵(박속핵, nucleus gracilis)
- 연수배측에 있는 박속결절 밑의 세포. 고유감각 및 피부촉각의 전도로
- 쐐기다발(fasciculus cuneatus)
- 후섬유단-내측섬유띠신경로의 일차신경원의 축삭이며 쐐기핵에 도달한다.
- 쐐기핵(설상핵, nucleus cuneatus)
- 연수배측에 있는 설상결절 밑의 세포. 고유감각 및 피부촉각의 전도로
- 일반감각(general sense)
- 촉각, 압각, 온각, 냉각, 통각 등의 피부감각
- 특수감각(special sense)
- 시각, 청각, 후각, 미각, 균형감각
- 고유감각(proprioception)
- 자기 자신에 대한 감각으로 자기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말한다.
- 척수소뇌로(spinocerebellar tract)
- 척수에서 시작되어 소뇌의 피질로 이어지는 신경로. 고유감각을 전달한다.
- 등쪽척수소뇌로(후척수소뇌로, posterior spinocerebellar tract)
- 촉각과 자기 고유 감각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뇌의 감각 경로
- IA 세포
- 근육 길이 변화
- IB 세포
- 근육 긴장도
- 클라크 기둥(Clarke’s cloumn)
- 흉수를 중심으로 제8경수에서 제1요수에 걸쳐 있는 세포 집단
- 촉각, 온도감각, 통각 등의 고유감각은 척수를 통해 소뇌로 향한다.
- 대표적인 고유감각 정보: 근육 길이의 변화, 근육의 긴장도
- 뇌에서 가장 굵은 신경 축삭 클라크 기둥은 고유 감각을 전달하는 역할이다.
- 피라미드 모양으로 굵어진 운동신경세포 다발은 연수에서 교차하고 그것을 피라미드 교차라고 한다.
- 하올리브핵은 등쪽하올리브핵, 안쪽하올리브핵, 하올리브핵(본체)로 나뉘며, 새로운 신체 기술을 배울 때 관여한다.
- 기술을 습득하고 나면 신호(signal)가 안 나온다
- 하올리브핵(inferior olivary nucleus)
- 연수에 위치하는 핵. 소뇌기능과 운동조절에 중요한 역할
- 척수시상로는 척수에서 시상으로 통증을 전달한다
- 척수그물로와 척수시상로는 비슷한 위치에 있다 (모여 있는 기관은 빗슷한 역할을 한다)
- 척수그물로(spinoreticular tract)
- 척수에서 그물형성체와 시상까지 통증 감각의 간접경로가 된다.
- 척수시상로(spinothalamic pathway)
- 척수에서 사이뇌의 시상까지 아픈 감각과 온도 감각을 전달한다.